<인터뷰> 유희재, 전국기능경기대회 입상자 성공 사례-서울공고 卒
2021. 10.01(금) 09:08
유희재, 서울공고 졸업자
전국기능경기대회, '꿈이 현실로! 미래 인재의 산실'
[스쿨iTV] Q. 간단한 자기소개

A. 반갑습니다. 저는 현재 삼성중공업 기술연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희재 라고 합니다. 저는 2011년 영국 국제기능올림픽 동력제어(Industrial control) 직종에서 금메달을 입상하였고 현재 기술연수원에서 국제기능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을 양성 및 국제심사위원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저는 서울공고 102회 졸업을 하였으며 서울공고 재학 시 학교의 많은 지원과 훌륭한 선생님들의 지도하에 지방기능경기대회와 전국기능경기대회에서 금메달을 입상하였습니다.

<참고>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금메달 입상 결과
- 일시불 상금 : 67,200,000원
- 연금 : 매년 12,000,000원
- 군대 면제 : 산업기능요원으로 대체 근무(회사에서 근무)
- 특혜 : 지역에 관계 없이 아파트 분양권 지급
- 회사(㈜삼성중공업) 포상금 : 10,000,000원
- 회사(㈜삼성중공업) 특진 : 2호봉 특진

Q. 국제기능올림픽을 준비하게 된 계기

A. 먼저 중학교 시절부터 전자기기 관련과 로봇 제작에 관한 대회를 시작으로 공업계로 진학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연히 집 근처에 서울공고를 알게 되어서 서울공고에 진학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입학원서를 제출함과 동시에 교문에 붙어있던 선배님들의 전국대회 입상에 관한 플랜카드를 보게 되어 자연스럽게 기능대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학교 입학과 동시에 기능대회를 준비하는 방법을 여쭤보고 기능대회를 본격적으로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학교의 수많은 선배님들 중에도 국제기능올림픽 출전을 하였다는 것을 보고 1학년 때부터 국제기능올림픽 출전을 위한 꿈을 가지며 대회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Q. 동력제어(現산업제어) 직종이란?

A. 현재 동력제어라는 직종은 산업제어라는 명칭으로 직종명이 변경되었습니다. 먼저 산업제어는 공장 자동화설비 및 산업설비를 구축함에 있어 PLC를 기반으로 서보시스템 등을 이용한 FA 설계와 산업용 설비 오퍼레이팅, 유지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드웨어 설치 및 배선, 제어기를 통한 세팅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자동화 장비를 운용하는 직종입니다.

과제에는 총 3~4가지 과제를 수행합니다. 회로설계는 시퀀스제어 회로설계를 통하여 하드웨어를 직접 구성합니다. 그리고 전기 재료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를 제작 및 설치하는 과제가 있으며 PLC, HMI, 인버터를 활용하여 동작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과제가 있습니다. 또한 국제기능올림픽에서는 결함추적, 즉 고장점을 찾는 과제까지 포함되어 총 4가지 과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현재 산업제어 직종의 기술이 트렌드에 맞게 공장 자동화(스마트 팩토리)에 특화되어있는 직종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현재 본인의 업무는?

A. 국제기능올림픽을 마친 후에 삼성중공업 시운전 파트에서 근무하였습니다. 선박의 자동화 장비를 수리 및 보전하며 실제 장비의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업무를 진행하였습니다. 5년 정도 근무 후 기술연수원으로 발령을 받아 현재 국제기능올림픽을 준비하는 후배 선수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Q. 기능대회 관련 직책은?

A. 현재 전국기능경기대회 산업제어 부심사장을 맡고 있으며 국제기능올림픽 전기제어 직종의 국제지도위원을 맡고 있습니다. 선수 출신으로써 전국기능경기대회를 준비하는 선수들에게 공정한 대회를 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기능올림픽 관련 업무를 진행하며 개도국 멘토링 지원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국외 협업 프로젝트를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Q. 특별히 기능대회 업무를 진행하면서 본인의 노하우?

A. 같은 전국기능경기대회, 국제기능올림픽을 출전해본 경험으로 후배선수들에게 경험에 대해서 많은 조언을 해줍니다. 국제기능올림픽 특성 상 개최지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이슈사항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사례를 바탕으로 따른 대처 방법을 후배들에게 많이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제기능올림픽 과제도 난이도가 많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사전에 장비들을 연구하여 사용 방법을 최적화하여 선수들과 함께 적용하며 훈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통이 제일 중요함을 선수들께 강조하며 함께 동고동락하며 대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음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하여 1년 연기되었지만 좀 더 긴 훈련기간을 가지게 된 만큼 선수들과 함께 좋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Q. 앞으로의 계획

A. 기능대회를 통하여 많은 기술을 배운 것 같습니다.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론 공부와 신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받은 교육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저 또한 많은 후배 양성을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학생들 또한 기능대회를 준비하는 선수들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공 : 서울시교육청
이 기사는 스쿨iTV 홈페이지(http://www.schoolitv.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문의 메일 : hyun@school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