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새정부의 성장동력 육성방안 집중토론 |
유영민 장관, 혁신성장동력 발굴 ‘뭘 키울까’ TF 주재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은 지난 24일 오후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개최된 제5차 ‘혁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뭘 키울까’ TF‘를 직접 주재했다.
‘뭘 키울까’ TF는 과기정통부 업무보고에서 논의된 ‘기존 성장동력사업의 재검토 및 유형화’를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9월 18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그동안 4차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산업연구원 장석인 선임연구위원의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과기정통부 방연호 성장동력기획과장의 ‘뭘 키울까 TF 중간보고’ 발표 후 자유토론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날 자유토론에서는 그동안 정부가 ‘무엇을 키워왔고’, 앞으로 성장동력으로 ‘뭘, 어떻게 키울까’를 중점 논의했다.
무엇을 키워왔나? 기술개발사업(G7 프로젝트, ’92~’02)부터 차세대성장동력(’03), 신성장동력(’09), 미래성장동력(’14)으로 이어진 정부의 성장동력 정책 성과 및 개선필요 사항
뭘키울까? 난정부에서 추진한 19대 미래성장동력,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와 4차 산업혁명 등을 고려한 성장동력 분야 선정
어떻게 키울까? 장동력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성장동력 분야 유형화와 정부의 지원전략
유영민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신산업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며, 그동안 정부가 육성한 성장동력을 4차 산업혁명과 잘 연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언급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산업연구원 장석인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이 기존의 가격경쟁에서 고부가가치 신산업으로의 전환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장수요를 바탕으로 한 정부의 적극적인 성장동력 육성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의견을 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TF에서 논의된 내용을 포함해 10월말까지 ‘혁신성장을 위한 성장동력 육성전략’을 마련하고, 12월까지 세부 육성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뭘 키울까’ TF는 과기정통부 업무보고에서 논의된 ‘기존 성장동력사업의 재검토 및 유형화’를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9월 18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그동안 4차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산업연구원 장석인 선임연구위원의 ‘혁신성장을 위한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과기정통부 방연호 성장동력기획과장의 ‘뭘 키울까 TF 중간보고’ 발표 후 자유토론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날 자유토론에서는 그동안 정부가 ‘무엇을 키워왔고’, 앞으로 성장동력으로 ‘뭘, 어떻게 키울까’를 중점 논의했다.
무엇을 키워왔나? 기술개발사업(G7 프로젝트, ’92~’02)부터 차세대성장동력(’03), 신성장동력(’09), 미래성장동력(’14)으로 이어진 정부의 성장동력 정책 성과 및 개선필요 사항
뭘키울까? 난정부에서 추진한 19대 미래성장동력,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와 4차 산업혁명 등을 고려한 성장동력 분야 선정
어떻게 키울까? 장동력을 효율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성장동력 분야 유형화와 정부의 지원전략
유영민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신산업육성과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며, 그동안 정부가 육성한 성장동력을 4차 산업혁명과 잘 연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언급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산업연구원 장석인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기업이 기존의 가격경쟁에서 고부가가치 신산업으로의 전환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장수요를 바탕으로 한 정부의 적극적인 성장동력 육성정책이 필요하다.”라고 의견을 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TF에서 논의된 내용을 포함해 10월말까지 ‘혁신성장을 위한 성장동력 육성전략’을 마련하고, 12월까지 세부 육성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장준덕 hyun@schooli.kr